수익형 블로그 이야기

<13> 구글 애드 센스 신청 방법

라이피 2021. 4. 23. 22:00

목록 썸네일용 이미지


구글 애드 센스 신청 방법

  여태까지 이 카테고리를 통해 수익형 블로그에 필요한 설정들과 글을 쓸 주제를 찾기 위한 키워드 도구들, 애드센스를 신청하기 전에 신경써야 할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애드센스 승인이 '블로그 생성 기간'이나 '방문자 수' 등에 의해서 결정되는건 아니라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물론 생성된지 오래되었고, 방문자수가 이미 충분하다면 더 유리할 것입니다.) 그러니 이제 신청을 해보겠습니다.


  1. 링크를 타고 애드센스 사이트로 이동해서 상단의 로그인이나 시작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로그인을 누를 경우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하게 되며, 이미 연결된 계정이 있을 경우 애드센스 메인 화면으로 바로 이동됩니다. 연결된 계정이 없을 경우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가입 절차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구글 애드 센스에 연결된 계정이 없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로그인 버튼의 아이디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상호작용이 나타나므로 여기서는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애드센스 초기화면 상단 메뉴


  2. 구글 애드 센스에 가입을 한다는 것은 광고를 게시하겠다는 뜻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가입할 때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웹사이트가 필요합니다. 저희는 티스토리 블로그에 애드 센스 광고를 게시하는게 목적이므로 웹 사이트 주소에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이메일 주소의 경우 구글에 등록된 이메일 주소일 경우 구글 로그인 절차로 이동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입력된 이메일을 이용한 구글 가입 절차로 이동합니다. 여기서는 구글에 등록된 이메일 주소를 입력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메일 수신 여부는 원하는대로 선택해주세요. 저는 처음 등록할 때 수신 동의 상태로 받았으므로 예시를 위한 이미지에서는 동의하지 않음을 선택했습니다. 동의하지 않음을 선택해도 승인과 관련된 메일은 정상적으로 수신되니 원하는 것을 선택하셔도 됩니다.

 

구글 애드센스 가입 화면

 


 

3. 광고 게재를 원하는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고 나면 국가 또는 지역을 입력하는 폼이 나옵니다. 돈과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에 이용약관 동의가 중요해서 선택된 국가에 맞는 약관을 보여주기 위해서로 보입니다. 대한민국을 선택하고 약관을 읽고 진행해주세요.

 

구글 애드 센스 가입 화면


  4. 위의 3번까지 진행하면 구글 애드센스에 계정은 등록되며, 4번 이후의 과정은 추후에 할 수도 있습니다. (메인 화면에서 등록한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4번 과정부터 이어서 진행됩니다.)

 

  이어서 수취인 주소를 입력해달라고 하는데 이 주소 정보는 구글 애드센스에서 계정을 활성화하기 위한 pin번호를 보내는데 이용합니다. 10달러 달성시 pin번호가 발송되며 이렇게 받은 pin번호까지 입력해야지 계정이 완전히 활성화되므로 주소 정보는 정확하게 입력해주세요. 10달러 달성 전에 거주지 주소가 바뀔 경우에는 계정 정보에서 주소 정보를 바꿔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pin번호가 적힌 우편을 못받았을 경우 3주가 지났음에도 받지 못했을 경우 최대 4~5회 가량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못받을 경우 과거에는 주민등록증 등을 이용하여 대체 인증을 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구글 애드센스에서는 대체 인증 방법을 제공하지 않고 있으므로 우편을 받을 수 있도록 정확한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참고로 pin번호를 4달 이상 입력하지 않을 경우 광고 게재가 중단됩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취인 주소 정보 입력 화면

 


  5. 수취인 정보까지 입력하고 다음으로 넘어가서 진행하면 애드센스 코드를 사이트 HTML 코드 안에 입력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이 코드는 구글 애드 센스 승인을 위한 코드인 동시에 승인 된 뒤에는 광고를 게재하는 코드로도 쓰이므로 승인 후에도 유지하셔야 합니다.

 

  현재 티스토리 관리자 탭에 수익관리 메뉴가 생기면서 구글 애드센스 연동이 가능한데, 심사와 관련된 정보는 제공하지 않으니 승인이 된 계정을 연동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익관리 메뉴에서 애드센스 계정을 연동하면 아래의 코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잘 모르겠으므로 확실하게 스킨에 추가해놓고 다음 포스트에서 티스토리의 수익 관리 메뉴와 구글 애드 센스도 연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빨갛게 표시한 부분의 내용을 복사해주세요.

 

구글 애드 센스와 사이트 연결 코드


  6. 위의 코드를 복사하셨다면 티스토리 관리자 화면으로 돌아와 메뉴에서 스킨 편집 버튼을 눌러주세요. (애드센스 화면은 끄지 마세요.) 평소에는 이 부분의 이미지는 생략했었지만 이번 내용은 중요하므로 이미지를 첨부합니다. 스킨 편집에 관련된 내용은 웹 개발과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에 추후에 정리가 되면 포스팅 할까 합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 중 스킨 편집 버튼

 

  그러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편집기 화면이 화면 우측에 나타납니다. 좌측은 캡쳐하지 않았지만 편집된 내용이 적용된 것을 미리 볼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나 있습니다. 우리가 복사한 내용은 <head>태그 안에 붙여 넣어주시면 됩니다. 어디에 넣어야할지 잘 모르시겠다면 아래 이미지에 표시한 것처럼 </head> 바로 위에 붙여넣고 적용 버튼을 눌러주세요. 빨간색으로 표시한 태그가 <head>태그의 시작과 끝 부분이며 파랗게 표시한 내용이 우리가 붙여넣기 해야하는 내용입니다.

 

티스토리 스킨 편집 화면

 

  적용 버튼을 누르지 않고 페이지를 나가면 수정된 내용이 적용되지 않지만 티스토리는 경고를 표시하지 않으므로 꼭 적용 버튼까지 눌러주세요. 그 뒤에 다시 구글 애드센스 화면으로 돌아가 검토 요청을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승인 대기 상태가 됩니다. 

 


  7. 이 후에는 평소대로 포스팅을 하시며 승인이 되기를 기다리시면 됩니다. 중간에 스킨 변경등으로 코드가 제거될 경우 승인이 제대로 이뤄질 수 없으므로 주의하세요. 승인까지는 며칠에서 최대 2주가 소요될 수 있다고 나와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더 긴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검토 중임을 나타내는 애드센스 화면


나가는 말

  이번 포스트에서는 구글 애드 센스 신청 방법을 이미지와 함께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HowTo는 이미지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글의 비중이 너무 적어지 않도록 더 신경써서 글을 쓰는 편입니다만 이 카테고리의 내용은 HTML 태그등의 웹개발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따라하실 수 있게 쓰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HTML 태그에 대한 내용은 최소한으로 설명했습니다. 

  어쨌든 애드 센스 신청까지 완료했으니 이제 승인만 기다리면 되겠습니다. 다음 포스트는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에 추가된 수입관리 메뉴와 애드센스 계정을 연결하는 내용을 작성하려고 하는데 저는 이미 승인된 블로그가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지만 티스토리의 수익 메뉴와 애드센스 연동은 확실하게 승인이 나고나서 하시는 걸 티스토리 측에서는 추천하고 있으며, 연동하지 않을 경우 ads.txt 오류로 광고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는 연동과 해제가 간단하므로 승인 전에 미리 연동해두어도 큰 상관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리 연동해도 승인전에는 광고를 설정할 수 없고, 승인 후 문제가 생기면 연동 해제 후 다시 연동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현재까지는 확실하게 승인 된 후 연동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이 포스팅의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공감(하트) 버튼을 꾸욱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