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형 블로그 이야기

<14> 구글 애드 센스 for TISTORY 1편 (연동 및 사용 방법편)

라이피 2021. 4. 24. 10:00

목록 썸네일용 이미지


구글 애드 센스와 티스토리 연동하기

  2020년 10월 전까지는 애드센스 광고를 블로그에 삽입하려면, 애드센스 사이트에서 광고 단위를 설정하여 HTML 코드를 받고, 이를 스킨 내부에 직접 삽입하거나 애드센스 플러그인에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했었습니다. 하지만 20년 10월 말 티스토리 측에서 구글 애드센스와 협력하여 수익 관리 메뉴를 선보이면서 광고를 설정하기가 더 간편해졌습니다. 아직 반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불안정한 면이나 우려스러운 점도 있긴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트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애드센스 광고를 블로그 내에 추가하고 수익을 확인하는 게 더 간편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이번에는 애드센스와 티스토리를 연동하는 방법과 광고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애드 센스와 티스토리 연동하는 방법

  0. 애드센스와 티스토리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애드센스에 가입된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 티스토리 측에서는 심사가 완료된 계정으로 연동하는 걸 추천하고 있습니다. 심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가입된 계정인 경우 연동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추측인 이유는 제 애드센스 계정이 블로그 하나는 승인된 상태이고 하나는 승인이 안된 애매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애드센스에 가입되지 않은 구글 계정으로 연동하려 할 경우 아래와 같이 나오며 연동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확인을 누르면 애드센스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애드센스에 가입되지 않은 계정으로 로그인하려 할 경우

 


  1.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에서 수익을 선택합니다. 아직 연동된 메뉴가 없으므로 하위 메뉴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의 수익 섹션


  2. 수익 화면으로 이동하면 현재 다음 애드핏, 구글 애드센스가 연동 가능하다고 나와있고, 데이블이나 텐핑 등을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저희는 애드센스를 다루고 있으므로 애드센스 부분에 있는 연동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각 수익 창출 도구에 대한 비교는 자료 조사 후 한번 다뤄보려고 합니다.)

 

애드센스 연동 버튼


  3. 연동하기 버튼을 누르면 프레임 내의 내용이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 빨갛게 표시한 '자세히' 표시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룰 'AdSense for TISTORY'에 대한 우려와 오해에 대한 내용과 관련됩니다. 연동하기 전에 한번쯤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 위의 'google 로그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애드센스 연동 화면


  4. 구글 애드센스에 가입한 계정으로 로그인 할 경우 다음과 같은 액세스 권한 허용 확인 창이 나옵니다. 권한을 허용하지 않을 경우 예상치 못한 에러가 발생했다는 팝업과 함께 연동이 되지 않습니다. 그저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에서 애드센스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요구하는 것으로 보이니 걱정하지 말고 허용하고 진행합시다. 참고로 이전에 연동하면서 권한을 허용했던 경우 두 번째 이미지와 같이 나옵니다. 

 

앱 권한 설정 화면


  5. 구글 계정이 애드센스에 가입되어 있으므로 이것만으로 연동이 완료됩니다. 아래는 연동이 완료된 화면입니다. 아직 광고 승인이 되지 않은 블로그라 그런지 아무 내용도 나오지 않습니다. 승인이 완료될 경우 각 블로그별 통계가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승인이 완료되면 확인 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티스토리 관리 화면에서 광고를 설정하는 방법도 간단합니다.

 

연동 완료 후 화면


블로그 관리자 메뉴에서 애드센스 광고 설정하는 방법

 

하위 메뉴가 생성되었다.

  연동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하위 메뉴가 생성됩니다. 수익 메뉴에서 '상세보기' 버튼을 누르거나, 하위메뉴로 생성된 '애드센스 관리' 메뉴에서 수익 정보를 볼 수 있고, 광고를 표시할 위치 등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수익 정보에 대한 부분은 생략하고, 광고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광고 설정 화면

 

  이미지로 볼 수 있듯이 광고를 설정하는 방법도 매우 간단합니다. 광고를 표시하고 싶은 부분을 빨갛게 표시한 두 부분에서 선택해주기만 하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우측의 토글스위치로만 설정할 수 있는 줄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왼쪽의 위치 예시 화면에서도 선택 및 해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미지를 만들면서 좌측의 예시 화면을 위와 아래를 분리했는데 위쪽은 홈 화면이나 카테고리를 눌렀을 때 나오는 글목록 화면에서 광고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아래는 글 본문 화면에서 광고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측의 목록에는 본문 광고 설정이 위에 있어서 헷갈렸는데 좌측에서 선택하는 것이 더 직관적인 듯합니다.)

 

  또한 토글스위치 좌측에 커서를 올리면 파란색으로 표시한 수정 버튼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광고 단위 (광고의 가로세로 사이즈)를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반응형이 가장 효과가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광고 크기에 따른 수익 차이는 자료 조사 및 경험을 더 해보고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전체 자동 광고는 구글의 인공지능이 블로그 스킨 레이아웃 및 글 구성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광고를 삽입해주는 기능으로 좌측의 예시 화면에서는 설정할 수 없고, 토글스위치로 선택 및 해제할 수 있습니다. 수정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전체 자동 광고 페이지 설정' 화면이 나오며, 자동 광고를 표시할 위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티스토리 설정 화면에서는 본문 중간에 광고를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데, 자동 광고 설정 시 글 본문 중간에 광고가 삽입될 수 있습니다.

 

자동 광고 페이지 설정 화면


나가는 말

  애드센스와 티스토리를 연동할 경우 티스토리 블로그 설정 화면 내에서 광고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이나 광고를 삽입하기 위해서 HTML 코드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 등의 장점이 많습니다. 하지만 애드센스가 제공하는 모든 광고 형태를 설정할 수 없다는 분명한 단점도 존재합니다. 이에 대해서 티스토리 측에서는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속적으로 기능을 업데이트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물론 이런 광고는 직접 코드를 삽입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부분은 원래 애드센스 광고를 사용하던 사람들에게 큰 단점이 되지 않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AdSense for TISTORY'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실질적으로 우려하고 있는 부분인 '수익 공유'에 대한 내용과 'ads.txt' 오류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의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공감(하트) 버튼을 꾸욱 눌러주세요.